엄밀한 의미에서 잡초는 없습니다. 

 밀밭에 벼가나면 잡초고
 보리밭에 밀이나면 또한 잡초입니다. 
 상황에 따라 잡초가 되는 것이지요

 산삼도 원래 잡초였을 겁니다
 사람도 같습니다. 
 제가 꼭 필요한 곳, 있어야 할 곳에 있으면 산삼보다 귀하고
 뻗어야 할 자리가 아닌데 다리뻗고 뭉개면 잡초가 된답니다. 

 타고난 아름다운 자질을 제대로 펴지 못하고
 잡초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지요. 

 보리밭에 난 밀처럼 자리를 가리지 못해
 뽑히어 버려지는 삶이 얼마나 많겠습니까. 

 그러나 우리 각자는  이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그 무엇과도 바꿀수 없는 너무 소중한 존재입니다. 
 우리 모두가 타고 난 자신 만의 자질을 맘껏 펼치시어  
 들풀같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시는 분들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산삼이라도 잡초가 될수 있고
 이름없는 들풀도 귀하게 쓰임 받을수 있습니다. 

 지하 주차장에서 주차요원으로 근무 하는분 중에서도
 인사도 잘 하고, 밝은표정으로 근무 하는 분이 있는가 하면 
 뭔가 불만스럽다는 표정으로 근무하는 분도 있습니다

 본인은 전직이 화려해 이런 곳에서 일할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 하는것 같습니다. 
 보잘것 없는 자리에서도 선한 영향력을 끼치며 감사하게 일하는 사람은 고귀한 분입니다. 
 남들이 부러워하는 좋은자리에 앉았다 해도 
 잡초와 같아서 뽑히음을 당하는 분도 있습니다. 

 현재 자기가 있는 자리가 가장 좋은 자리라 생각하고
 감사한 마음으로 선한 영향력을 끼치며
 살아 가는 사람이 복있는 사람입니다. 
 
 [ 오늘의 한마디 ]
 
 행복이란 주어진 여건을 대하는 
 자기자신의 마음태도에 달려 있습니다.

 내가 웃을 때 같이 웃어주는 그런 사람이 아니라 
 내가 울고 있을 때 웃음 지며 날 위로 해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기다려 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전화를 하면 만날 수 있고, 와달라 하면 와줄 수 있는 사람이 아니라
 내가 멀리 있어 날 볼 수 없어도
 어디선가 날 기다려 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날 지켜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어두운 밤길에 날 집까지 데려다 주는 그런 사람이 아니라
 항상 내 맘속에 있어 다른 이가 내 맘을 가져가지 못하게
 내 속의 자리를 지켜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그가 필요합니다. 
 내가 기대고 싶고,
 날 기다려줄 수 있고 날 지켜줄 수 있는 사람이 그 하나 뿐이라서
 나는 그 사람이 필요합니다. 

 그 사람이 바로 당신입니다
 
 [ 오늘의 한마디 ]
 
 누구와 어울리는지를 보면 그 사람이 보입니다. 
 사람의 감정도 전염됩니다.
 긍정이 긍정을 낳고 부정이 부정을 부릅니다.
 전염력이 가장 강력한 것이 행복 바이러스입니다.

 새끼 거북이 카벙클 (Carbuncle)은 임시 치아로 알을 깨고 나온다.
 만약 알을 깨고 나오지 못하면 그 거북이는 죽게 된다.

 알을 깨고 나온 거북이만 망망대해로 가서 자기를 찾을 수 있다.
 하나의 생명이 태어나기 위해  알을 깨는 아픔이 수반된다.
 남태평양의 사모아 섬은 바다 거북이들의 산란 장소로 유명하다.
 봄이면 어미 거북이들이 해변으로 올라와 구멍을 파고 진통을 겪으면서도 알을 낳는다.

 해양학자들이 거북이가 안쓰러워 산란하는 바다 거북이 에게 진통제를 놓았다.
 충격적인 일이 벌어졌다.
 진통제를 맞은 거북이가 자기가 낳은 알을 모조리 먹어 치우는 것이다.

 왜 그런 일이 일어났을까?

 과학자들은  고통없이 알을낳아,  모성 본능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냈다.
 시련과 고통이 있어야 탄생과 성장이 있다.

 세상을 이끄는 혁신가들은 전부 편안함을 거부 한 사람이다.
 비행기를 만든 사람은 MIT 연구원 들이 아니라
 자전거포에서 자전거를 팔던 라이트 형제이고,
 상대성이론을 만든건,
 스위스 특허청에서 일하던 수학도 잘 못하는 아인슈타인 이다.

 만약 이들이 평범한 기존 시스템에 안주했다면 결코 새로운 생각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익숙함을 거부하라!
 행복해질 것이다.!
 
 [ 오늘의 한마디 ]
 
 어려움에 봉착했을때
 기본부터  차근 차근 하며, 한 단계  한 단계 올라가다 보면
 그 문제는 어느새 해결 되어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Recent posts